top of page

2021 전라북도 건축문화상 주거부분 금상

화담별서和談別墅.

화담和談 ; 정답게 주고 받는 말

별서別墅 ; 농장이나 들이 있는 부근에 한적하게 따로 지은(농사를 짓는)집

 

전원 주택의 특성을 고려해 작업을 위한 공간과 주거를 위한 공간이 혼재 되면서 집의 본질인 쉼을 찾아주고자 했다. 화담별서는 작업영역과 주거영역을 건물 매스로 적절히 나누고 긴밀히 연결되도록 계획했다. 두영역은 게스트룸을 기준으로 구분지어진다. 게스트룸 전면에 툇마루를 설치하여 사람이 머물고, 햇살이 드리우고, 바람이 지나는 화담별서의 첫인상이 된다

거실에서 바라보는 풍경은 게스트룸 매스로 인해 작업공간을 가려주어 마당의 조경과 담장 넘어로 펼쳐진 시골의 고즈넉한 풍경을 온전히 누리게 해준다

 

게스트룸은 아들들을 위한 공간이자 손님을 맞이하는 공간으로 거실에서 조금더 거리를 두고자했다. 한옥의 사랑채와 같다

 

시골마을에 들어서는 집이 제 모습을 드러내기 보단 주변과 조화롭길 바랬다, 심플한 매스, 매스의 분절, 간결한 사선 지붕으로 이루어진 주택이다. “화담별서”는 건축주가 지은 이름이고 일상건축이 지은 이름은 “모음집” 이었다. 건물의 배치도 마당을 향해 모여지고, 집을 짓기위해 부모님과 두명의 아들들의 마음과 정성이 모여서 만들어진 집이어서 모음집이라 이름지었다.

한옥의 마당에 서서 바라다보이는 처마가 모여지는 부분이 주는 위요감, 안락함에서 건물의 디자인이 시작되었다.

외부에서 바라다 보이는 형태도 중요하지만 그 공간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느끼는 시선과 공간감을 우선시했다. 집에서 느낄 수 있는 편안함, 공간의 크기, 시야의 확장, 빛의 밝기...

 

화담별서는 농부의 일상을 찾아주는 일상건축의 이야기이다

위치

전라북도 김제시 공덕면

용도

단독주택

대지면적

660㎡

건축면적

129.96㎡

연면적

129.38㎡

규모

지상1층

구조

철근콘크리트

외부마감

타일벽돌, 칼라강판지붕

295382355_1067363160574533_543944609956272662_n.jpg
302221978_561103365699805_1949938932765937001_n.jpg
0
0
0
bottom of page